관심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가장 공감이 되고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사례 4개에 투표해 주세요.
1개의 분야 별 4개의 사례에 투표해야 최종 결과에 반영됩니다.
각 분야별 4개씩 최대 16개의 사례에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.
1. 소개
ㅇ 디지털성범죄와 관련하여, 압수수색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불법 성착취물 탐지 프로그램을 개발·활용, 성착취물의 해시값, 파일정보 등과 일치하는 성착취물을 신속히 탐지하여 압수 → 소요시간, 인력 대폭 절감
* SNS 등 이용한 성착취물 소지, 유포자 수사시 활용
2. 추진 배경
ㅇ 디지털성범죄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확산되면서, 처벌을 강화하고 범죄 근절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 대두
ㅇ 데이터 초대량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존 디지털성범죄 압수수색 방식의 한계를 최소화하고, 성착취물 탐지를 위한 자동·전문화 프로그램 개발 고민
3. 추진 성과(경과)
ㅇ 자체 프로그램 개발, 매년 프로그램 유지·보수로 소요되는 예산 절감(소요 예산 Zero)
ㅇ 디지털성범죄 엄정 대응을 위한 효율적인 수사환경 조성
- (사례) SNS 이용 아동 성착취물 유포 사건 운영자 ‘△△’이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한 성착취물 영상 등을 다운로드, 재유포한 혐의자 대상 압수수색 시 신속히 탐지·압수
ㅇ 신속·정확한 탐지를 통한 2차 유출 피해 방지 등 범죄 피해 최소화
ㅇ 압수수색 현장의 성착취물 탐색·선별의 효율성 향상
| 윈도우 탐색기 등 일반 프로그램 사용시 | 자체 개발 프로그램 사용시 |
전체소요시간 | 약 23시간 | 약 5~10분 |
영상검색 소요시간 | 약 1시간 | 약 5~10분 |
영상선별 소요시간 | 영상 1건 실행 및 확인 소요시간(20초) X 4000건 = 약 22시간 | 검색 즉시 확인(프로그램 자동선별) |
(영상 4천여건(700GB) 탐색·선별 소요시간 비교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