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심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가장 공감이 되고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사례 4개에 투표해 주세요.
1개의 분야 별 4개의 사례에 투표해야 최종 결과에 반영됩니다.
각 분야별 4개씩 최대 16개의 사례에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.
1. 소개
ㅇ 전국 최초 해양쓰레기 수거 운반선 도입 및 해양자원 리사이클링 설치 사업 추진
ㅇ 전국 최초 특허출원한 피복형 부표 절단기를 도입하여 예산 절감 및 재활용 세외수입 확보 → 행정혁신으로 해양쓰레기 처리의 패러다임 전환
2. 추진 배경
ㅇ (해양쓰레기 방치) 해양쓰레기 발생량 7천톤 중 3천톤은 수거되나 나머지는 수거하지 못하여 해안경관 저해 및 미세플라스틱 발생 요인이 되고 있음
ㅇ (일하는 방식 혁신) 기존 방식으로 해결할 수 없기에 해양쓰레기 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안 마련을 위해 선제적 일하는 방식 혁신 필요
3. 추진 성과
ㅇ 2020년도 해양쓰레기 관리역량 최우수 지자체(전국 1위) 선정
- 해양수산부가 실시한 ‘지역 해양쓰레기 관리역량 평가’에서 73개 연안 기초지자체 중 전국 1위로 선정
ㅇ 해양쓰레기 수거 운반선 건조(전국 최초)
- 87t급 해양쓰레기 운반선 건조를 통해 해 섬지역 해양쓰레기 수거를 강화
→ FDA(미국 식품의약국) 지정해역의 화장실 분뇨수거, 적조발생 시 황토 운반
→ 해양오염 주범인 폐플라스틱 부표를 적기에 수거 처리
ㅇ 해양 자원 리사이클링 설치 사업 추진(전국 최초)
- 1일 40여톤의 처리 능력을 갖춘 규모로 총 150억 원을 투입 예정
- 수거한 해양쓰레기의 선별, 세척, 파쇄, 절단 과정을 거쳐 자원 재활용률을 높여 청정해역 보존에 기여
ㅇ 피복형 부표 절단기 제작·설치(전국 최초)
- (추진배경) 피복형 부표 자체는 피복된 플라스틱 제거 없이는 재활용이 안되서 재활용을 위한 수작업 시 많은 시간·인력 낭비 발생
- (추진성과)
· 전국 최초 피복형 부표 처리기 제작 설치 운영
· 제작업체 특허출원으로 피복형 부표 처리기 특허 획득
· 폐기물로 처리하던 피복형 부표를 플라스틱과 폐스티로폼 분리로 처리예산 절감 및 자원 재활용으로 세외 수입
ㅇ 미세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리빙랩 공모 2년 연속 선정 및 선정 민간단체에 대한 추진 지원(주민 스스로 지역문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