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심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가장 공감이 되고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사례 4개에 투표해 주세요.
1개의 분야 별 4개의 사례에 투표해야 최종 결과에 반영됩니다.
각 분야별 4개씩 최대 16개의 사례에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.
1. 소개
ㅇ 교통, 낙상사고 등 국민의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소방청·권익위원회·지자체 등 관련기관*이 협력하여 문제점을 찾아서 근원적인 해결책 추진
*인명구조 활동(소방)→문제점 발굴(소방)→위험 분석·개선(관계기관 협의회)→평가·사후관리
2. 추진 배경
ㅇ 국민생활과 밀접한 안전사고의 급격한 증가추세*에 일시적 처방에서 탈피하여 근원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 필요 * 구조활동 증가율 : `10년 대비 159% 증가 ↑
ㅇ 인명구조 등 소방활동에서 발견한 多發사고지점·원인을 비롯한 분석정보를 중앙부처·지자체와 협력을 통해 사고유발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지역 안전사고 문제해결
3. 추진 성과(경과)
ㅇ 2019년 3년간(‘16~’18) 전국 구조활동 빅데이터를 분석하고, 권익위와 사고빈발 공공시설 실태파악 및 개선대상으로 총 422개소 선정*하여 지자체 개선(415개소)
*도로 166, 하천 등 104, 산악 64 등 / 지역별로 광역도 224개소, 수도권 121, 광역시 77
ㅇ 2020년 사고빈발·위험지역 발굴·개선을 위한 소방청과 관계부처(행정안전부·국민권익위원회·경찰청)위험관리 협력체계 구축(‘20.5.19.)
- (소방청)위험요인 발굴 및 분석 (행안부)지역 안전역량 컨설팅
- (권익위)민원 모니터링, 제도개선 협력 (경찰청)교통사고 분석
ㅇ 최근 10년간 수집된 구조·구급활동* 정보를 통해 GIS공간 분석을 통한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사고 밀집지역 분석
* 총 2,630만건(구조 530만건, 구급 2,100만건)
ㅇ 지역 협의체(소방서⇔시설물 관리책임기관)를 구성·운영하여 전국 사고빈발 및 위험지역 안전시설물 발굴·개선 추진 중
- (소방) 추락, 산악, 수난사고 등 안전사고 발생지역 또는 우려지역 정보공유
→ (시설물 관리책임기관) 공공안전 시설물 설치·보강 추진
이전사례 참여·사회적 가치 엄마 아빠~ 우리들 걱정말고 편하게 일하세요~!
다음사례 공공서비스 더 이상 빠르고 편리할 수 없다! 전국 최초 코로나19 안심 전자출입명부 클린강원 패스포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