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심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가장 공감이 되고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사례 4개에 투표해 주세요.
1개의 분야 별 4개의 사례에 투표해야 최종 결과에 반영됩니다.
각 분야별 4개씩 최대 16개의 사례에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.
1. 소개
ㅇ ICT 기술을 활용하여 전국 최초 해양공간적 개념의 환경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양식어업인들이 어장환경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볼 수 있도록 해양환경정보를 제공
ㅇ 해조류 양식 안정화 및 고품질화를 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 해양기후변화에 선제적 대응으로 해양수산관련 산업피해 최소화 도모
2. 추진 배경
ㅇ 해조류는 기후변화 등 환경적 요인에 민감한 품종이지만 특정 지역의 표층수온 정보 및 어업인의 경험에만 의존한 불안정한 생산으로 어가경영 및 어업경쟁력 약화
ㅇ 해조류 양식산업의 지속적 유지와 어가경영 안정화를 위해 기장 해역환경 정보 수집 및 분석 등 맞춤형 해조양식 과학적 시스템 구축 필요
3. 추진 성과(경과)
ㅇ 2019년 ICT기반 기장해역 해조양식 어장환경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
- ICT 기술을 접목한 실시간 지역 기후정보, 해역 환경인자 정보 수집 등 기장해역 맞춤형 어장환경 관측시스템
- 해양공간별 환경정보 수집을 위한 수심별(1·3·5·9m) 관측 장비 구축
* 수심별 관측항목 : 수온, 염분, 용존산소, 광량, 풍향, 풍속
ㅇ 2021년 API 개발 및 SMS 발송 서비스를 통한 해양환경정보 모바일 서비스 제공
- 2020년 해조양식 언택트(AI) 서비스 구축을 위한 공공데이터 연계-활용 시스템 구축
* 1일 제공 데이터 건수 항목별 72건(1일 총 데이터 제공건수 288건)
4. 기대효과
ㅇ 과학적이고 안정적인 해조류 양식을 통한 해조류 고품질화 및 어가소득 증대
ㅇ 어장환경 정보를 어업인 및 관련기관에 제공함으로써 해양수산관련 신업피해 최소화 기반 마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