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심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가장 공감이 되고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사례 4개에 투표해 주세요.
1개의 분야 별 4개의 사례에 투표해야 최종 결과에 반영됩니다.
각 분야별 4개씩 최대 16개의 사례에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.
1. 소개
ㅇ 코로나로 학교급식이 중단되어 학부모는 식재료비 부담, 농가와 급식재료 업체는 경영위기를 겪게 되고,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국 500만 학생가정에 농산물 꾸러미 공급
ㅇ 급식농산물 45천톤(급식3개월분) 소비, 소상공인 등 약 4,800명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였으며, 한국 코로나19위기 대응의 모범사례로 USA TODAY 등 외신 취재
2. 추진 배경
ㅇ 학교급식 중단으로 전국 초중고 학교에서 소비될 급식용농산물 소비가 전면 중단되어 식재료 생산 농가와 공급업체 소상공인의 경영 위기 초래
ㅇ 또한, 가정에서는 학생들의 원격수업으로 인해 학부모들의 식사준비 및 식재료 비용 부담 해소와 학생건강을 위한 급식지원 필요
3. 추진 성과
① 전국 최초로 ‘학생 가정 농산물 꾸러미사업’ 추진으로 농가와 가정에 1석 2조 성과
- 농식품부·교육부 협업으로 15개 시도의 531만명 학생 가정에 친환경 우수 식재료를 지원하여 학생건강 증진 및 학부모들의 먹거리 비용 부담 해소
* 급식 잔여 예산 활용 가능하도록 한시적 규제 완화, 공직선거법 위반논란 해소, 수의계약 근거 마련, 꾸러미 제작·공급 지원(5개도), 사업 가이드라인 마련·배포를 통해 15개 시도·교육청 소속 531만명 대상 학생 꾸러미 공급 완료
- 급식농산물 45,000톤(급식 3개월 분량)이 소비되어 농업인은 재고물량을 소진하였고, 약 5,000개의 식재료 공급 소상공인 기업은 경영 위기를 극복
* 꾸러미 공급업체 3,785명 및 택배사 1,000여명 등 약 4,80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
② 또한, 농산물꾸러미 3,750억원, 교육재난지원금 1,240억원 등 총 5,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어 코로나-19로 얼어붙은 국내 경제 활성화에 기여
③ 국제적으로 한국 코로나-19위기 대응 모범사례로 외신의 관심이 모아져 기획취재(USA TODAY, 10월) 등으로 대외 국격 위상도 제고에 기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