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심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가장 공감이 되고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사례 4개에 투표해 주세요.
1개의 분야 별 4개의 사례에 투표해야 최종 결과에 반영됩니다.
각 분야별 4개씩 최대 16개의 사례에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.
1. 소개
ㅇ 시민에게는 문화예술 향유권을 보장하고 문화예술인에게는 지속가능한 문화예술 활동이 가능토록 지원하는 온라인 문화예술 서비스 전환 혁신모델 제시
ㅇ 공연행사, 축제, 예술활동으로 대표되는 여주 3대 문화예술활동 공유방식을 온라인으로 표출하여 지역문화진흥과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
2. 추진 배경
ㅇ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연행사, 축제, 예술활동의 취소·무기한 연기로 시민의 문화예술 향유기회 대폭 감소와 문화예술인 생존권이 위협받는 상황 봉착
ㅇ 문화예술 컨텐츠별 서비스 제공방식 개선을 통해 시민의 문화예술 향유기회와 문화예술인의 생존권을 보장하는 랜선기반의 문화예술 서비스 방식을 도입
3. 추진 성과(경과) ― 2020.10.18. 기준
ㅇ 여주 3대 문화예술 서비스방식 혁신 ⇒ 시민문화 향유권과 예술인 생존권 보장
구분 | 공연행사 | 축제(도자기) | 문화예술활동 | |
횟수 | 관람객 | |||
2019년(A) | 20 | 8,518 | 마케팅 1회 (축제개최 : 매년 5월) | 대면 방식 진행 (지원사업, 생활문화/학술대회) |
2020년(B) | 14 | 230,445 | 마케팅(연중) (축제개최 : 2020년 미개최) | 비대면 방식 진행 (지원사업, 생활문화/학술대회) |
증감 (B-A) | △6회 | +221,927명 | *온라인 플랫폼 구축 중 (2020. 9. ~ 12.) | *지원사업 : 14개 단체↑ *생활문화 : 4,402명↑ |
ㅇ 온라인공연 개최, 드라이브 영화관 등 서비스혁신 ⇒ 여주인구 대비 206.7% 관람
- 3p(장소, 사람, 가격) 완전극복, 공연행사 지원인력 720명의 지역일자리 창출
* 여주 유일 문화시설 세종국악당(1991년 준공, 400석), 드라이브영화관 고객만족도 점수 91점
ㅇ 전국 기초자치단체 최초로 도자기 온라인 플랫폼 구축 추진 중(2020.9.∼12.)
- 여주도자기사업협동조합, 범 지역민 협업(요식업협회, 휴게업협회, 지역작가, 문예인 등)
* 여주도자기축제 : 1990년 부터 개최, 도자기체험·역사 등 지역특화축제(2019년 30만명 관람)
ㅇ 청년예술인 등 문화예술단체 지원과 생활문화강좌 온라인 운영 ⇒ 접근성혁신
- 문화예술지원사업 : 드라이브스루 심사, 온라인발표, 지원단체 확대(55→69)
- 생활문화 수강인원 전년대비 536.7%↑ : (19년)6강좌, 1,008명→(20년)10강좌, 5,410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