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소개
ㅇ 도심지 주차난 해소를 통한 주민편의 증진을 위해 대전 서구가 지역대학(KAIST 지역혁신연구센터)과 MOU를 체결해 대전지역 최초로 주차정책 전반에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공공서비스 모델 개발
ㅇ 대전 서구 종합 주차정보 및 불법 주정차 단속 대시보드(시각화) 시스템 솔루션을 개발해 합리적·즉각적 의사결정에 따른 정책 추진을 가능하게 하고, 주민에게 지역 주차정보를(주차장 공유지도) 실시간으로 제공
2. 추진 배경
ㅇ 서구는 대전 인구의 1/3(약 50만)이 거주하며, 시청·교육청 등 주요 관공서, 대형병원, 은행 등이 밀집한 행정·상권의 중심지로 지리적으로 주차난 심각
구분(20.2월 현재) | 대전 전체 | 대전 서구 | 비고 |
자동차 | 675천대 | 211천대 | 31%차지 |
인구 | 1,473천명 | 481천명 | 33%차지 |
ㅇ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공영주차장 조성, 민간부설주차장 개방, 거주자우선주차제 등 다양한 주차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주민 체감도는 높지 않은 현실
3. 추진 성과(경과)
ㅇ 카이스트(KAIST) 지식혁신연구센터와 MOU를 체결해 주차·교통 정책에 첨단기술(빅데이터)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제공기반 마련
- 서구가 보유하고 있는 공공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주차정책 수립 등 데이터 기반 주차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
ㅇ 합리적 의사결정에 따른 주차정책 추진기반을 마련(공감)하고, 광범위한 주차관련 데이터를 유형화·시각화(공간)하며, 주민에게 주차정보 실시간 제공(공유)
- (공감) 기존 주민요구, 주차장 부지매입 용이성 등에 의한 주차장 조성에서 탈피해 합리적·과학적 의사결정에 따른 공영주차장 적정 조성지 선정
- (공간) 주차관리 필요지역, 주차난 다발지역, 구역별 주차현황, 불법주정차 패턴 등을 분석한 대시보드(종합 주차정보, 불법주정차 단속) 시스템 솔루션 개발
- (공유) 기존 정책(부설주차장 개방, 거주자 우선주차 확대)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으로 주차장 공유지도를 제작해 주민에게 제공
이전사례 no data.
다음사례 공공서비스 더 이상 빠르고 편리할 수 없다! 전국 최초 코로나19 안심 전자출입명부 클린강원 패스포트